주식/종목 집중 분석 박연구원장 2020. 1. 22. 20:07
오늘은 지난 종목 추천글에 3번째 종목 KG모빌리언스 종목 분석을 하겠습니다. KG모빌리언스의 최근 이슈사항으로는 관계기업 KG올앳과의 합병이 예정 되어 있습니다. 먼저 합병스케쥴을 살펴보시죠. 합병반대의사 통지 접수기간은 1월 3일부터 1월 17일간 입니다. 이때 합병에 반대하는 사람에게 주식매수청구권을 줍니다. 올앳은 빼고 KG모빌리언스를 가지고 예를 들면 회사가 제시한 6,022원 이하가 되면 회사에게 '내주식 니가 사라' 가 되는것 입니다. 그럼 회사는 주당 6,022원에 사줘야 합니다. 뭐 그이상이라면 굳이 청구를 안해도 되겠죠. KG올앳의 1대 주주는 KG이니시스이고 2대 주주가 네이버 입니다. 합병등기가 이뤄지면 며칠간의 거래정지가 되고 이후 3월 10일 합병되어 재상장이 됩니다. 흡수회사는..
더 읽기
주식/주식 공부 및 정보 박연구원장 2019. 12. 10. 20:38
안녕하세요? 호랭이 입니다. 종합주가지수가 3일연속 상승마감 하며 지난주 우울했던 한국증시가 다시 활력을 찾는 모습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연기금의 역할로 잡아봤는 데 연기금이 무엇이냐? 직장인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월급 명세서를 받아보면 국민연금이라고 해서 돈을 아주 많이 떼어 가죠? 은퇴 후 연금수령 나이가 되면 월에 얼마씩 연금을 수령하게 되어 있습니다. 물론 나중에는 연금이 고갈되서 받지 못 할수도 있다 라고들 많이 이야기 하는데 뭐 그때가 되어봐야 알겠고요. 또 4대보험이라고 해서 의무적으로 국가에서 징수하는데 이 둘을 합쳐 연기금이라고 부르며 국민에게 징수한 이 기금을 가지고 자금을 운용하게 됩니다. 자주는 아니지만 증시가 폭락하면 사이드카가 발동되며 일시적으로 거래가 제한되게 되는데 이때 정부에..
주식/종목 집중 분석 박연구원장 2019. 12. 9. 20:33
지난 돼지열병 발생 때 생석회를 만드는 회사라는 이유로 3천원대에서 8천원대까지 상승했던 백광소재. 여기서 잠깐 생석회란 산화칼슘으로 수분을 잘 흡수하며 물에 용해되면 염기성을 나타내며, 공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황의 제거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뭐가 어쩌고 저쩌고 중요치 않고 어쨋든 이 회사가 만드는 생석회가 돼지열병 발병시 전염차단을 막는 중요한 화학물질로 3천원에서 8천원까지의 상승이 있었는데요. 백과사전을 보다보니 근데 공장 굴뚝에 이산화황...? 미세먼지로 붙혀서 날릴수도 있겠네요. 왜냐? 바로 백광소재에 한방이 남았기 때문입니다. 차트보시죠. (사진 : 월/주/일봉 순서) 월봉상은 골이 깊어보이지만 일봉을 보면 충분한 조정을 거치고 다시 120선 위로 나오고 있습니다. 금요일과 월요일인..
주식/종목 집중 분석 박연구원장 2019. 11. 4. 17:32
안녕하세요? 주말 잘들 보내셨나요. 지난 코프라 추천에 이어 종목 리딩 잠시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지난 추천때 SK디스커버리 매도물량이 20여만주 남아있다 했는데 10월 31일부로 전부 출회된 것으로 보이고 이제 기관이 '사자'로 전환했습니다. 보면 볼수록 매력적인 종목이고 이 가격에 놀고 있을 주식이 아닙니다. 2천원 잠시 깻지만 기관 매도세가 잦아들며 이제 바닥찍고 턴을 했는데요. 금요일 세계증시가 상승마감하고 오늘 한국증시까지 좋은 영향이 이어졌다고는 하나 개별로 놓고 보더라도 아주 미인주임에는 틀림이 없어요. 여기서 한가지더, 12월을 결산으로 하는 회사는 3분기 실적발표를 11월 15일까지 마감해야 합니다. 보통 대형주들은 일찍일찍들 내지만 중소형주들은 마감기한을 맞춰 발표를 하는게 다반사 입니..
주식/종목 집중 분석 박연구원장 2019. 10. 31. 20:00
시장 주도주, 거래량 터진 인기주 보다는 아무도 관심갖지 않은 주식을 골라 거래량이 터지고 인기주가 됐을 때 다 던지고 나오는게 제 매매 스타일입니다. 때문에 단기 투자보다는 중장기 투자를 선호합니다. 물론 의도치 않은 장투가 되었을 때도 배당은 줄것이며, 재무구조가 탄탄한 회사만을 매매해야겠지요. 그런 원칙을 어겼다가 최근 낭패를 두어번 봤기에 다시금 초심을 이글을 빌어 다짐해봅니다. 서두가 조금 길었군요. 세종시는 국토균형발전 계획에 의거 노무현 정부때 추진된 국토균형발전 공약이었습니다. 아직까지도 세종시는 계속 개발중에 있으며, 몇군데 대형부지만이 개발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었는데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그 부지가 세종시 국회의사당 분원부지로 예상했고 실제로 그게 사실이 됐습니다. 세종시 개발과 행정기..